본문 바로가기

건강

올바른 양치질 방법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들이 흔히 알고 계시는 양치의 3.3.3. 법칙에 대해 잘못된 점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보통 하루 3번, 식후 3분 이내, 3분 동안 해야 한다고 많이 들으셨을 겁니다. 그러나 치과의사 선생님들께 여쭤본 결과 다른 점이 발견되어 알려드리겠습니다.

 

 

 

 

3.3.3법칙의 오류?

예전에 양치질을 배울 때 3.3.3. 법칙으로 양치를 배우신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그러나 식사를 한 뒤 3분 이내로 양치를 하게 되면 치아가 손상이 됩니다. 많이 듣는 말이 탄산음료를 먹고 나서 바로 양치를 하면 안 된다입니다. 우리의 입 안은 기본적으로 중성의 성질을 띄는데 탄산음료를 먹게 되면 입안이 산성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치아 표면의 무기질이 산에 녹아 나오며 치아가 부식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침 속에 있는 무기질 성분이 다시 치아를 굳게 만들며 중성으로 바뀌게 됩니다. 중성으로 바뀌고 난 후에 양치를 하는 것이 치아의 손상을 덜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많은 연구에 따르면 식후 30분에서 60분 정도 경과한 후에 양치하는 것이 식사 후 바로 양치를 하거나 아예 안 하는 것보다 손상이 덜하다고 합니다. 탄산뿐만 아니라 매운 음식의 경우도 시간이 지나고 양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치질을 제대로 하면 3분이 모자랄 수 있습니다. 치아를 꼼꼼히 닦고 혀도 닦으며 입 안을 헹궈내기에는 시간이 부족할 수 있으나 본인의 템포에 맞추어 양치질을 잘해 주시면 됩니다. 평소에 본인이 무의식적으로 양치를 한다고 생각하면 거울을 보면서 양치를 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순서를 정해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습관적으로 양치를 하다 보면 매번 양치하는 곳만 하여 그 부분은 많이 닳아 마모되고 양치가 안 되는 부분은 치석이 쌓이는 악순환이 됩니다. 거울을 보며 어디를 양치하는지 봐 가며 하면 빼놓지 않고 꼼꼼히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양치질은 가로로? 세로로?

양치질이라고 하면 보통 미디어에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가 보았던 프로그램 안에서 제일 기억나는 양치질은 배우가 화를 내는 장면에서 엄청난 속도로 가로로 팔을 움직이며 양치하는 장면이었습니다. 그러나 가로로 양치하는 방법은 별로 좋지 못한데, 잘 못 닦거나 힘을 많이 주게 되면 치아의 마모만 앞당길 수 있습니다. 회전법이라고 하는 양치질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지는 양치질입니다. 한국구강보건협회에서 권장하는 칫솔질로 위에서 아래로 쓸어내리는 방법입니다. 위는 잇몸 쪽, 아래는 잇몸 쪽의 반대편 치아 끝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양치질은 잇몸과 치아가 맞닿는 부분을 잘해주어야 잇몸건강에 좋은데, 맞닿는 부분에 칫솔을 갖다 댄 후 양쪽으로 살짝 몇 번 움직인 뒤 그대로 치아 끝쪽으로 쓸어내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잇몸과 치아를 같이 잘 양치해 줄 수 있는 방법입니다. 

 

칫솔모의 크기도 중요한데 칫솔모가 너무 크면 어금니 뒤쪽으로 칫솔이 들어가지 않아 닦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제일 양치가 잘 안 되는 부분이 제일 큰 어금니 뒤쪽이나 아래쪽 앞니입니다. 어금니 뒤쪽은 잘 보이지도 않고 닿지 않아서 그런 경우가 많고 아래쪽 앞니는 침샘과 가까워 치석이 생기기 좋습니다. 어금니 쪽은 치간칫솔과 치실로 관리를 해 주면 좋고, 또는 end tuft라고 불리는 교정용으로 작은 칫솔이 있는데 그 칫솔은 어금니 제일 뒤쪽을 닦기 좋습니다. 아래쪽 앞니는 다른 치아와 마찬가지로 칫솔을 댄 뒤 양쪽으로 움직이고 쓸어내는 방향으로 양치를 해 주시면 됩니다. 양치를 하고 입을 헹군 뒤 혀로 치아를 쓸어내려 보았을 때 매끄럽지 않고 손톱으로 긁어보았을 때 묻어 나오면 그 부분을 다시 양치해주셔야 합니다.

 

 

 

 

양치할 때 칫솔에 물을 묻혀야 할까?

많이들 헷갈려하시는 질문입니다. 치약에 물을 묻혀야 한다는 의견은 '거품이 잘 나서 양치가 잘 된다, 물을 묻히지 않으면 너무 뻑뻑해서 치아가 마모되지 않는가'로 걱정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반대 의견은 치약에 물을 묻히면 효과가 떨어진다라고 하십니다. 더 좋은 답변을 말씀드리자면 치약에는 물을 묻히지 않고 양치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치약에는 불소나 연마제 같은 성분들이 포함이 되어 있는데, 칫솔에 치약을 묻히고 물을 묻혀버리면 치약 성분이 희석되기 때문에 좋은 효능들이 감소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 어색하더라도 물을 묻히지 않고 양치질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또 뻑뻑하다고 느끼실 수 있는 이유가 치약을 짜는 방법입니다. 칫솔 위에 치약을 많이 짜는 경우 치약이 도톰하고 예쁘게 올라갑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치약이 치아에 골고루 닿지 않기 때문에 칫솔모 아래까지 치약이 들어가게 하여 양치를 해 주어야 하고, 치약을 적게 짜더라도 칫솔모 안에 들어가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던 잘못된 방법의 정정과, 제대로 된 양치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치약을 짜는 방법은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모르실 수 있는데 양치를 한 번 하더라도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같이 알려드렸습니다. 또한 양치는 센 힘으로 하면 마모가 빨라질 수 있어 적당한 힘으로 꼼꼼히 구석구석 해 주시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세게 하지 않으면 만족할 수 없다고 하시는 분들은 치과에 방문하여 전체적으로 치아의 마모도를 확인하신 후 양치의 설명을 들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치아는 평생 쓰는 것이기 때문에 한순간에 본인의 만족도보다는 오래도록 치아를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